최근 블랙아이스로 인한 차량사고가 증가하는데 겨울철 블랙아이스 대처 방법에 대하여 안내합니다.
블랙아이스란?
겨울철 눈이나 비가 도로 표면 아스팔트 틈새에 스며들었다가 기온이 떨어지면서 도로의 기름과 먼지와 함께 얼게 됩니다.
이 얼음이 얕고 투명해 도로의 검은 아스팔트 색이 그대로 비쳐 보여 검은색 얼음이라는 뜻의 '블랙아이스'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눈이나 비가 내리지 않더라도 다리 위나 호숫가 주변의 도로 등과 같이 기온의 차이가 큰 곳에서 생기기도 합니다.
위험성
인식의 어려움과 미끄러움
도로와 구분 짓기 어렵고 도로 표면이 얼어붙은 것을 눈으로 확인하기 어렵고 얼어붙은 도로 떄문에 차량의 제어가 어려워
가속, 감속, 방향 전환 등을 시도할 때 차량의 제어력을 잃어 사고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발생 장소
교량과 터널
교량은 주변 공기 흐름의 영향으로 기온이 더 낮아져, 얼음이 먼저 생깁니다. 터널도 외부와의 기온 차이로 인하여 블랙아이스가 생기기도 합니다.
경사로 및 언덕
경사진 도로에서는 중력이 작용해 물이 고이지 않고 빠르게 흐르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블랙아이스가 쉽게 형성될 수 있습니다.
습한 도로
해안가, 저수지 부근은 기온이 급격히 낮아지면서 대기 중 수분이 도로 위를 얼어붙어 블랙아이스로 변하기도 합니다.
대처 방법
서행 및 거래 유지
겨울철에 눈‧비가 내리고 영하권 날씨가 이어지면, 어디서든 결빙구간을 만날 수 있습니다.
평소보다 감속 주행하고 블랙아이스가 자주 발생하는 아침과 블랙아이스가 자주 발생하는 장소에선 더 충분히 감속하여 운전하여야 합니다.
급제동을 할 수 있는 상황을 예방하려면 차간 거리를 넉넉히 유지하고, 앞차와의 간격이 좁아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브레이크 조작
미끄러운 상황에서 브레이크를 꾹 밟고 있으면 제동이 제대로 안 되므로 제동이 제대로 걸릴 수 있도록 브레이크는 2 ~ 3번 나누어 밝는 것이 좋습니다.
핸들 조작
운전 중 미끄러움을 느꼈다면, 미끄러지는 방향으로 핸들을 돌려야합니다. 핸들을 반대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오히려 차량이 회전하여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타이어
겨울용 타이어는 고무를 부드럽게 하는 고무 합성물이 일반 타이어보다 많이 들어가 겨울철 낮은 온도에서도 딱딱해지지도 않고, 부드러우면서 유연하여 장악력이 유지되는 타이어이므로 장착하는 것이 좋습니다.
온도가 낮은 겨울철에는 타이어가 자연스럽게 수축되기 쉬우므로 타이어 공기압을 기존보다 10%정도 높게 주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미끄럼 사고를 대처하기 위해서는 겨울철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타이어 미끄럼을 방지해주는 ‘스프레이 체인’이 있습니다.
타이어 접지면에 골고루 뿌리면 되며 한 번 사용 시 40km 주행까지 효과가 지속되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날씨 확인
기온이 급격히 낮아지는 아침 시간이나 저녁 시간, 그리고 기온이 0도 이하로 떨어진 경우에는 더욱 신경 써야 하며 눈이나 비가 내린 후에는 도로 상태를 점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도로 상태를 주의 깊게 살피고, 안전 운전을 위해 속도 조절, 브레이크 조작, 핸들 조작 등에 유의하여 안전운전하세요!
'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설 연휴 고궁 무료 개방 총정리(1월 25일 ~ 1월 30일) (14) | 2025.01.23 |
---|---|
애드센스 전면 광고 게재 빈도 설정 안내(수익 최적화) (14) | 2025.01.20 |
2025학년도 초등학교 취학(입학)통지서 인터넷 발급, 예비소집 안내 (52) | 2024.12.12 |
코레일 파업으로 인한 변경된 지하철 시각표 안내 (56) | 2024.12.10 |
[퀴즈&정답] 고용노동부 라이어 게임 이벤트 (~ 12/5) (7) | 2024.12.05 |